죽은 시인의 사회(1990)

애석하게도 저의 학창 시절에는 존경할만한 선생님이 없었습니다. 여기서 존경할만한 이란 그를 롤모델로 삼아 그 삶을 모방할 정도로 인생에 커다란 영향을 끼친 은사가 없었다는 말입니다. 저를 가르쳤던 선생님들이 이 소리를 듣는다면 기분이 좋지 않을지도 모르겠지만, 전해질 리도 만무하고 더군다나 사실이 그렇습니다. 물론 기억에 남고 좋은 분들도 계셨지만요. 언젠가 친구들과 자신이 '은사'라고 부르고 싶은 분이 있는지 이야기를 한 적이 있습니다. 안타깝게 대부분 없다는 대답을 들었죠. 그 무렵 이 영화를 접했습니다. 키팅 선생님을 보고는 항상 바라 왔던 '선생님'이란 존재가 바로 이런 모습이 아니었을까 싶었습니다. 그때의 감동과 울림은 정말로 커서 지금도 영화를 다시 볼 때면 가슴이 울렁거리곤 합니다. 각설하고 제가 가장 좋아하고 존경하는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안녕하세요. 토이장의 영화 수집관이라는 블로그를 운영하는 토이장입니다. 오늘은 너무나도 유명한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를 추천해 드립니다. 아마 영화를 보지 않은 분들도 "오! 캡틴, 마이 캡틴!"과 "카르페 디엠"이라는 명대사는 알고 있으실 겁니다. 좋다고 말하기도 민망한 명작 중에 명작이죠. 제62회 미국 아카데미 각본상과 제43회 영국 아카데미 작품상, 음악상을 수상했습니다. 프랑스의 국내 영화제인 세자르 영화제에서 외국어영화상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미국에서 1989년 6월 2일 개봉한 뒤 1990년 5월 19일 국내에도 상영을 시작했습니다. 상영시간은 128분, 장르는 드라마입니다.

 

영화에 관한 잡다한 배경을 잠깐 설명하겠습니다. 대부분 소설이 원작이라고 알고 있지만 작가 톰 슐만이 스튜디오에 시나리오 초안을 보낸 것이 영화의 시작이라고 하네요. 작품 속 웰튼 고등학교는 내슈빌 사립학교를 기반으로 한 가상의 학교입니다. 장소는 세인트 앤드류스 사립학교이며 피터 위어 감독은 이곳을 보자마자 원하는 곳을 찾았다며 기뻐했다고 합니다. 로버트 윌리엄스는 '키팅' 역을 맡게 된 이유에 대해 자신도 학창 시절, '존 키팅'과 같은 선생님을 원했기 때문이라고 밝혔습니다. 

 

'존 키팅'은 로빈 윌리엄스가 연기했습니다. <쥬만지>, <플러버>, <굿 윌 헌팅>, <패치 아담스>, <천국보다 아름다운> 외 나열하기도 힘들 정도로 수많은 영화의 주연을 맡았죠. 2014년 작고한 그가 그리울 따름입니다. 아버지의 뜻에 따라 의사가 되어야 했던 '닐 페리'를 연기한 로버트 숀 레오나드는 훗날 미드 '하우스 M.D.'시리즈에서 의사를 연기합니다. 소심한 성격에서 가장 용기 있는 학생으로 성장한 '토드 앤더슨'은 에단 호크가 연기했습니다. <청춘 스케치>, <비포 선라이즈> 시리즈의 그 에단 호크 맞습니다. 사랑꾼 '녹스'를 연기한 조쉬 찰스는 미드 '굿 와이프'에서 '윌 가드너'로 출연했습니다.

 

 

줄거리

 

미국의 명문학교 웰튼 아카데미는 전통, 명예, 규율, 탁월함을 표어로 갖고 있는 보수적인 곳이다. 이 곳에서 교육은 오로지 학생들의 명문대학 입학을 목표로 이루어진다. 아이들은 기숙사 생활을 하며 딱딱한 주입식 교육을 받는다. 그런 학교에 새로운 선생님이 부임한다. 존 키팅(로빈 윌리엄스)은 자신이 졸업한 모교에서 신선한 방식으로 제자들을 가르친다. 문학의 이론과 비평 방법론을 외우던 수업에서 벗어나 작품을 함께 읽고 느끼게 만든다. 시와 삶을 알려주는 그에게 학생들은 매료된다. 닐 페리(로버트 숀 레오나드)는 키팅 선생님의 졸업 앨범에서 죽은 시인의 사회에 대해 알게 된다. 키팅 선생님은 그 모임을 낭만주의자들이 동굴에 모여 시를 읽던 비밀 서클이라 말한다. 닐과 토드 앤더슨(에단 호크)을 필두로 아이들은 죽은 시인의 사회라는 모임을 재조직하고 키팅 선생님의 가르침대로 자신의 삶에 대해 생각해보기 시작한다. 찰스 댈튼(게일 핸슨)의 돌발행동으로 친구들의 비밀 모임은 발각될 위기를 맞고, 키팅 선생님의 독특한 수업 방식은 교장 선생님의 눈밖에 나게 된다. 

 

빛나는 청춘, 위대한 스승

 

왁자지껄 떠들고 노는, 쾌활한 학생들의 빛나는 일상을 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즐겁습니다. 우리 사회의 교육제도에 대한 비판과 그에 따른 다양한 문제의식을 생각해보는 비평도 좋습니다. 그러나 이 영화에서 만큼은 잠시 접어두고 싶습니다. 삶의 참된 의미를 가르쳐주는 선생님, 그 가르침대로 자기 나름의 방식으로 걸으려 노력하는 학생들을 바라보는 것. 이 내용이 '허세'든 '판타지'든 그것과는 상관없습니다. 제게는 감동이었고 그 느낌을 여러분도 경험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어쩌면 당신의 은사가 될지도 모를 키팅 선생님의 수업을 들어보시는 건 어떨까요.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였습니다. 

 

 

 

2019/06/21 - [영화평&리뷰] - 대한민국이 여태껏 망하지 않은 이유, <김군> 영화평(스포있음)

+ Recent posts